외상후스트레스장애 1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길이 열리는 도시! 마음이 열리는 병원! 화성초록병원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는 생명을 위협하거나 극심한 충격을 주는 사건을 경험한 후, 지속적인 불안, 공포, 악몽, 회상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정신 건강 장애입니다. 이 질환은 전쟁, 자연재해, 폭력, 성폭력, 심각한 사고 등 심각한 외상적 사건을 겪거나 목격한 후 발생하며, 사건이 끝난 후에도 지속적으로 심리적 고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PTSD는 성인뿐만 아니라 아동과 청소년에게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요증상

PTSD 증상은 일반적으로 외상 사건 후 1개월 이내에 나타나지만, 몇 개월 또는 몇 년 후에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1. 침습 증상 (재경험, Intrusion Symptoms)

- 외상 사건이 반복적으로 떠오름(플래시백)
- 악몽(외상과 관련된 꿈)
- 강한 불안과 공포를 유발하는 회상
- 특정 자극(소리, 냄새, 장소 등)에 의해 트라우마가 떠오름

2. 회피 행동 (Avoidance Symptoms)

- 외상과 관련된 사람, 장소, 물건, 상황을 피하려 함
- 트라우마를 떠올리게 하는 대화, 뉴스, 영화 등을 회피
- 감정을 억제하고 외상과 관련된 생각을 차단하려 함

3. 부정적인 사고와 감정 변화

-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나는 가치 없는 사람이다”)
- 타인에 대한 불신, 세상이 위험하다는 느낌
- 죄책감, 수치심, 무가치함
- 감정이 둔해지고, 주변 사람들에게 관심이 줄어듦

4. 과각성 증상 (Hyperarousal Symptoms)

- 작은 자극에도 과민 반응(예: 큰 소리에 놀람)
- 불면증, 쉽게 화를 냄
- 집중력 저하, 불안감 증가
- 지속적인 경계심(위험이 없는데도 위협을 느끼는 상태

이러한 증상은 일상생활, 직장, 대인관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우울증, 불안장애, 알코올·약물 의존과 동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원인 및 위험 요인

PTSD는 단순한 정신적 충격이 아니라, 외상 후 뇌의 신경 생물학적 변화와 관련된 질환입니다.

1. 외상적 사건(Triggering Trauma)

- 전쟁, 테러, 폭력(군인, 난민, 전쟁 경험자)
- 신체적·성적 학대, 성폭력
- 자연재해(지진, 홍수, 화재) 및 대형 사고(교통사고, 산업재해)
- 가족 구성원의 갑작스러운 사망, 심각한 질병 진단

2. 신경생물학적 요인

- PTSD 환자는 편도체(Amygdala, 공포 반응 담당)가 과활성화되고, 전두엽(충동 조절, 논리적 사고 담당)의 기능이 저하됨.
- 스트레스 호르몬(코르티솔, 아드레날린)이 과도하게 분비되면서 신경계가 지속적으로 과활성화됨

3. 심리적 요인

- 외상 전 우울증, 불안장애 병력이 있는 경우
- 성격 특성(높은 감수성, 불안 성향)
- 사회적 지원 부족(가족, 친구의 지지 부족)

4. 환경적 요인

- 반복적인 스트레스 상황(군 복무, 폭력적인 환경)
- 외상 후 충분한 심리적 지원을 받지 못한 경우

 진단 기준(DSM-5, APA 기준)

미국 정신의학회(APA)의 DSM-5에서는 PTSD를 다음과 같이 진단합니다.

A. 외상적 사건 경험: 실제 또는 위협적인 죽음, 심각한 부상, 성폭력을 경험하거나 목격함.
B. 침습 증상: 악몽, 플래시백, 회상, 심한 정서적 반응
C. 회피 행동: 외상과 관련된 기억, 사람, 장소, 대화 회피
D. 부정적인 감정 변화: 죄책감, 무가치함, 감정 둔화
E. 과각성 증상: 불면증, 경계심 증가, 충동성, 집중력 저하

이러한 증상이 1개월 이상 지속되며, 일상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면 PTSD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치료방법

PTSD는 조기에 치료하면 증상을 조절하고 정상적인 삶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1. 심리 치료(Psychotherapy)

- 인지행동치료(CBT): 외상과 관련된 부정적인 사고를 수정하고 대처 방법을 학습
- 노출 치료(Exposure Therapy): 안전한 환경에서 외상과 관련된 자극에 점진적으로 노출하여 공포 반응을 줄임

2. 약물 치료(Medication)

-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플루옥세틴, 설트랄린(우울감과 불안 완화)
-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 벤라팍신(과각성 증상 완화)

3. 생활 습관 관리

- 규칙적인 운동(조깅, 요가, 명상)으로 스트레스 조절
- 충분한 수면과 건강한 식습관 유지
- 음주, 카페인, 니코틴 섭취 줄이기
- 가족과 친구의 지지받기, 전문 치료 지원 그룹 참여

PTSD는 외상적인 사건 후에도 지속적으로 불안, 공포, 악몽, 회피 반응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하지만 적절한 치료와 심리적 지원을 받으면 회복할 수 있습니다.
트라우마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워진다면,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의료법인 승민의료재단 화성초록병원
대표자:김기중  사업자번호 : 124-82-19873  주소 : (우18626) 경기도 화성시 양감면 사격장길 133-25 (경기도 종합사격장 맞은편)
일반전화 : 031-352-0885  팩스 : 031-352-6232

CopyRight © 2024 화성초록병원. ALL RIGHTS RESERVED.(ad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