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장애 1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길이 열리는 도시! 마음이 열리는 병원! 화성초록병원

강박장애

강박장애(OCD)
강박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는 스스로 원하지 않는 괴로운 생각이 떠오르는 강박사고(Obsessions)와 이러한 생각을 줄이기 위해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강박행동(Compulsions)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 질환입니다.
이러한 강박 사고와 행동은 일상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환자는 이를 통제하려고 하지만 쉽게 조절하지 못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약 2~3%의 인구가 강박장애를 경험하며,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증상

강박장애의 핵심 증상은 강박 사고와 강박 행동으로 나뉩니다.

1. 강박 사고(Obsessions)

환자가 원하지 않지만 지속적으로 떠오르는 불안하고 반복적인 생각, 이미지, 충동

- 오염에 대한 두려움: "손에 세균이 묻었을까?"
- 대칭과 정렬에 대한 집착: "이 물건이 완벽하게 정렬되지 않으면 불안해."
- 불행한 일이 일어날 것 같은 걱정: "가족이 사고를 당할지도 몰라."
- 폭력적이거나 충격적인 이미지: "내가 다른 사람을 해칠 수도 있을까?"
- 종교적·도덕적 집착: "내가 신성 모독적인 생각을 하고 있는 건 아닐까?"

2. 강박 행동(Compulsions)

강박 사고로 인한 불안을 줄이기 위해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행동이나 정신적 의식

- 지나치게 자주 손 씻기, 샤워하기
- 물건을 특정한 방식으로 정리하거나 반복해서 확인하기
- 문을 잠갔는지, 가스를 껐는지 과도하게 확인하기
- 특정 문구나 기도문을 반복해서 암송하기
- 특정 숫자에 집착하여 같은 행동을 반복하기(예: 3번씩 손 씻기)

이러한 행동을 하지 않으면 환자는 극심한 불안감을 느끼고, 행동을 반복해야만 안심할 수 있습니다

 원인

강박장애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신경전달물질 이상: 세로토닌 기능의 불균형
- 뇌 구조 및 기능 이상: 전두엽과 기저핵, 변연계 간의 연결 이상
- 유전적 요인: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 위험 증가
- 심리적 요인: 강박적 성향, 불안 수준이 높은 성격
- 환경적 요인: 스트레스, 외상 경험, 엄격한 교육 방식 등이 발병에 영향을 줄 수 있음

 치료방법

강박장애는 만성적인 경향이 있지만,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증상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1. 약물 치료

-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플루옥세틴, 플루복사민, 설트랄린 등
- 삼환계 항우울제(TCA): 클로미프라민
- 항정신병 약물(Antipsychotics, 보조 치료): 리스페리돈, 아리피프라졸 등

2. 인지행동치료(CBT)

- 노출 및 반응 예방 치료(ERP, Exposure and Response Prevention)
강박 사고를 유발하는 상황에 점진적으로 노출하여 강박 행동 없이 불안을 견디도록 훈련
예: 손 씻기를 강박적으로 하는 환자가 더러운 물체를 만진 후 손을 씻지 않고 버티는 연습
- 인지 재구성(Cognitive Restructuring)
강박 사고가 과장된 것임을 인식하고, 합리적인 사고 방식으로 교정하는 치료

3. 기타 치료 방법

- 심리 교육: 환자와 가족이 강박장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대처법을 배움
- 심신 이완 요법: 명상, 요가, 호흡법 등을 활용해 불안 관리

 생활 습관 및 관리 방법

1. 규칙적인 생활 유지

- 수면 부족이 강박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충분한 수면 필요
- 정해진 시간에 식사하고 운동하기

2. 스트레스 관리

- 강박 사고는 스트레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스트레스 해소 방법 찾기(운동, 취미 활동)

3. 카페인 및 알코올 섭취 줄이기

- 카페인과 술은 불안을 증가시켜 강박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음

4. 강박 행동을 완벽하게 없애려 하지 않기

- 강박 행동을 줄이는 것이 목표이지, 완전히 없애야 한다는 강박을 갖지 않기

5. 전문가의 도움 받기

- 강박 증상이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친다면 정신건강 전문가와 상담하기

강박장애는 반복적인 강박 사고와 강박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지만, 치료를 받으면 증상을 충분히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단순한 성격 문제가 아니라 뇌의 기능 이상으로 인한 질환이므로, 조기 치료와 관리가 중요합니다.
강박장애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워진다면, 전문가의 상담과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입니다.


의료법인 승민의료재단 화성초록병원
대표자:김기중  사업자번호 : 124-82-19873  주소 : (우18626) 경기도 화성시 양감면 사격장길 133-25 (경기도 종합사격장 맞은편)
일반전화 : 031-352-0885  팩스 : 031-352-6232

CopyRight © 2024 화성초록병원. ALL RIGHTS RESERVED.(admin)